반응형
핵심 요약: ROIC = NOPAT / 투하자본 × 100
▶ 영업이익에서 세금 제외 → NOPAT 계산
▶ 영업용 자산만 선택 → 투하자본 산정
▶ 영업이익에서 세금 제외 → NOPAT 계산
▶ 영업용 자산만 선택 → 투하자본 산정
투하자본수익률(ROIC)은 기업의 영업 효율성과 자본 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대한민국 신용평가기관은 ROIC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과 위험 수준을 판단하며, 특히 5년 평균 ROIC를 중시합니다. 이 글에서는 재무제표를 활용해 ROIC를 계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1. ROIC의 핵심: NOPAT와 투하자본
ROIC는 **세후순영업이익(NOPAT)**을 **영업투하자본(IC)**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13.
1.1 세후순영업이익(NOPAT) 계산
NOPAT = 영업이익 × (1 - 법인세율)
- 영업이익: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 항목 사용
- 법인세율: 대한민국 기준 법인세율(25%) 적용4.
예시: 영업이익 1,000억 원 × (1 - 0.25) = 750억 원
1.2 영업투하자본(IC) 계산
방법 1: 영업자산 - 영업부채
IC = (매출채권 + 재고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매입채무
- 매출채권/재고자산: 영업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묶이는 자금
- 유형자산/무형자산: 공장, 특허권 등 영업 기반 시설
- 매입채무: 이자가 없는 단기 부채
방법 2: 총자산 - 비영업자산 - 무이자부 유동부채
IC = 총자산 - (투자자산 + 현금성자산) - (선수금 + 미지급금)
- 비영업자산: 투자용 부동산, 유가증권 제외
- 무이자부 유동부채: 이자비용 없는 단기 차입금
예시:
- 매출채권 300억 + 재고 400억 + 유형자산 1,000억 - 매입채무 200억 = 1,500억
- 총자산 2,000억 - 투자자산 200억 - 선수금 100억 = 1,700억
2. 재무제표 활용 실전 계산
가상 기업 A사의 2024년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구분금액 (억 원)
구분 | 금액(억원) |
영업이익 | 650 |
매출채권 | 300 |
재고자산 | 400 |
유형자산 | 1,000 |
무형자산 | 250 |
매입채무 | 200 |
투자자산 | 150 |
현금성자산 | 300 |
2.1 NOPAT 계산
650억 × (1 - 0.25) = 487.5억
2.2 IC 계산 (방법 1 기준)
(300 + 400 + 1,000 + 250) - 200 = 1,750억
2.3 ROIC 산출
487.5억 / 1,750억 ≈ 27.86%
3. 신용평가기관의 분석 포인트
3.1 WACC(가중평균자본비용) 비교
- ROIC > WACC: 자본 효율성 우수(가치 창출)
- ROIC < WACC: 자본 손실 발생 가능성6
3.2 동종 업계 비교
- 반도체 업계 평균 ROIC 15% vs A사 27.86% → 경쟁력 우수
- 건설업 평균 8% 미만 시 자본 회수 위험 주의3
3.3 추세 분석
- 5년간 ROIC 20% → 25% → 27%: 지속적 개선
- 30% → 25% → 20%: 경쟁력 약화 신호
4. 흔한 오류와 해결 방안
4.1 잘못된 법인세율 적용
- 실제 납부 세액 확인 필요(법인세율 25%지만 감면 혜택 있을 수 있음)4
4.2 비영업자산 미제외
- 예시: 500억 규모 투자용 부동산을 IC 계산 시 제외하지 않으면 ROIC가 5%p 왜곡
4.3 매입채무 과소 평가
- 매입채무 외에 선수금, 기타비과세 부채도 고려해야 함
5. ROIC 활용 전략
5.1 신용등급 향상
- 3년 연속 ROIC 20% 이상 기업은 신용등급 상승 가능성 높음
- 예: 한국신용평가 기준, ROIC 15% 이상 시 BBB+ 등급 이상 유리
5.2 투자 의사결정
- ROIC 10% 이상 + WACC 7%: 우량 투자처
- ROIC 5% + WACC 8%: 자본 회수 위험
마무리: ROIC는 경영진의 능력표
ROIC는 단순 숫자가 아닌 경영진의 자본 배분 능력을 반영합니다. 신용평가기관은 ROIC 추이를 통해 경영 리스크를 평가하며, 특히 불확실성 높은 산업에서 ROIC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재무제표의 숫자를 기계적으로 계산하는 것보다 영업 현장과의 연계성을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FRS 1116호: 리스 회계처리 완벽 가이드 (1) | 2025.04.14 |
---|---|
(쉬운 회계실무)금융상품 MMF, MMDA, MMT, MMW 비교 및 회계처리 방법 (1) | 2025.04.09 |
회계 - IFRS계정과목 - 매출채권(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의 개념과 회계처리 (0) | 2025.03.12 |
회계 - IFRS계정과목 - 재고자산의 측정과 취득원가 분석 (0) | 2025.03.12 |
금융자산의 종류와 차이점(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