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상감자와 자본잠식액 변화, 쉽게 이해하기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이나 자본잠식 해소를 위해 무상감자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무상감자 후 자본잠식액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자본잠식률 계산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자본잠식액이란 무엇인가요?
자본잠식액은 회사의 자본금에서 자기자본(자본총계)을 뺀 금액입니다.
즉, 자본잠식액 = 자본금 - 자기자본으로 계산합니다.
자기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결손금 포함) 등 모든 자본 항목의 합계입니다.
무상감자란 무엇인가요?
무상감자는 회사가 주주에게 별도의 현금 지급 없이, 자본금과 결손금을 상계하여 자본금을 줄이는 절차입니다.
즉, 자본금과 결손금이 동시에 줄어들고, 자기자본(자본총계)은 변하지 않습니다.
무상감자 후 자본잠식액은 어떻게 변할까요?
핵심 요약:
무상감자를 하면 자본금이 줄고, 자기자본은 그대로이므로 자본잠식액이 감소합니다.
즉, 자본잠식률도 낮아집니다.
무상감자를 하면 자본금이 줄고, 자기자본은 그대로이므로 자본잠식액이 감소합니다.
즉, 자본잠식률도 낮아집니다.
예시로 살펴보는 자본잠식액 변화
구분 | 감자 전 | 감자 후 (무상감자) |
---|---|---|
자본금 | 10억 | 6억 |
자기자본 | 5억 | 5억 |
자본잠식액 | 5억 | 1억 |
- 감자 전에는 자본금 10억, 자기자본 5억 → 자본잠식액 5억
- 무상감자 후에는 자본금 6억, 자기자본 5억(불변) → 자본잠식액 1억
정리하며
무상감자는 결손금과 자본금을 상계해 자본잠식액을 줄이고, 자본잠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단, 실제 적용 시에는 회사의 재무상황과 감자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 회계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반응형
'금융, 주식 및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식공부 - 스튜디오미르 최근 주가 흐름 및 기업분석 (2025년 7월 30일 기준) (0) | 2025.07.30 |
---|---|
대한민국 주식투자 - 북극항로 개척사업 관련주 TOP 5 기본적·기술적 분석 (5) | 2025.06.30 |
오늘의 급등주 탐색 - ‘사이냅소프트’ 주식투자 분석 (0) | 2025.06.18 |
(2025년 최신판) 대한민국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TOP 5 추천 및 상세 분석 (3) | 2025.06.17 |
내집마련 꿀팁 - ‘지분형 주택담보대출’ 완벽 정리 (1)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