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투자 용어 - 무상감자와 자본잠식액 변화, 쉽게 이해하기

by 요미콩이 2025. 7. 9.
반응형

 

무상감자와 자본잠식액 변화, 쉽게 이해하기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이나 자본잠식 해소를 위해 무상감자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무상감자 후 자본잠식액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자본잠식률 계산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자본잠식액이란 무엇인가요?

자본잠식액은 회사의 자본금에서 자기자본(자본총계)을 뺀 금액입니다.
즉, 자본잠식액 = 자본금 - 자기자본으로 계산합니다.
자기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결손금 포함) 등 모든 자본 항목의 합계입니다.

무상감자란 무엇인가요?

무상감자는 회사가 주주에게 별도의 현금 지급 없이, 자본금과 결손금을 상계하여 자본금을 줄이는 절차입니다.
즉, 자본금과 결손금이 동시에 줄어들고, 자기자본(자본총계)은 변하지 않습니다.

 

무상감자(Unpaid Capital Reduction)

무상감자 후 자본잠식액은 어떻게 변할까요?

핵심 요약:
무상감자를 하면 자본금이 줄고, 자기자본은 그대로이므로 자본잠식액이 감소합니다.
즉, 자본잠식률도 낮아집니다.

예시로 살펴보는 자본잠식액 변화

구분 감자 전 감자 후 (무상감자)
자본금 10억 6억
자기자본 5억 5억
자본잠식액 5억 1억
  • 감자 전에는 자본금 10억, 자기자본 5억 → 자본잠식액 5억
  • 무상감자 후에는 자본금 6억, 자기자본 5억(불변) → 자본잠식액 1억

정리하며

무상감자는 결손금과 자본금을 상계해 자본잠식액을 줄이고, 자본잠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단, 실제 적용 시에는 회사의 재무상황과 감자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 회계사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반응형